기후 변화, 플라스틱 오염, 자원 고갈 문제가 심화되면서 개인이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생활 습관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와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환경 보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 세계에서 매년 20억 톤 이상의 폐기물이 발생하며 그중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40% 이상 차지한다고 합니다. 가정 내 에너지 사용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습관은 작은 변화처럼 보이지만 환경 보호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실천법인 제로웨이스트 주방 만들기,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 활용하기, 에너지 절약법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제로웨이스트 주방 만들기
1) 주방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
일반적인 주방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플라스틱 포장재, 일회용 용품 사용량이 많아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13억 톤의 음식물이 버려지고, 이는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플라스틱 포장재의 90% 이상이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되거나 소각됩니다. 일회용 키친타월이나 위생랩, 종이컵 사용량도 증가하면서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발생합니다.
2) 제로웨이스트 주방 실천법
주방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려면 첫째,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만큼만 식재료를 구매하고 남은 음식은 보관해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은 야채로 볶음밥, 된장찌개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여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방법도 좋습니다. 둘째, 일회용 포장재 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장을 볼 때 비닐봉지 대신 다회용 장바구니를 사용하고 플라스틱 랩 대신 비건 왁스랩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셋째, 재사용 가능한 식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빨대 대신 스테인리스나 실리콘 빨대를 사용하고, 일회용 컵과 접시 대신 유리나 도자기, 스테인리스 식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주방 세제와 세척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합성 세제를 대신해 베이킹소다, 구연산, 식초를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자연 세척제를 만들고 플라스틱 스펀지 대신 대나무 수세미나 코코넛 브러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 활용하기
1) 기존 생활용품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제품(키친타월, 플라스틱 칫솔, 면봉 등)은 대부분 단기간 사용 후 폐기되며 이로 인해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합니다. 플라스틱 칫솔은 분해되기까지 500년 이상 소요되며 일회용 면봉 사용량은 연간 50억 개 이상에 달해 해양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키친타월을 생산할 때는 엄청난 양의 물과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2)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제품 대체법
플라스틱 칫솔을 대나무 칫솔로 교체하면, 100% 자연 분해가 가능하고 플라스틱 칫솔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9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일회용 면봉을 종이나 대나무 면봉으로 대체하면, 플라스틱 코팅이 없는 천연 소재 면봉으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회용 생리대를 면 생리대나 생리컵으로 교체하면, 면 생리대는 3년 이상 사용 가능하고 플라스틱 폐기물을 90%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리컵은 10년 이상 사용 가능하여 일회용 생리대 대체 효과가 큽니다. 티백 대신 리유저블 티 인퓨저를 사용하면, 티백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가정에서 실천하는 에너지 절약법
1) 가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 문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수도, 가스는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특히 대기전력과 난방냉방 에너지 낭비, 물 낭비 문제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가전제품의 대기전력만으로도 연간 1,500 kWh 이상의 전력이 낭비되고, 에너지 비효율적인 조명을 사용하면 연간 20% 이상의 추가 전력 소비가 발생합니다.
2) 가정에서 실천 가능한 에너지 절약법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뽑거나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대기전력 차단만으로도 연간 100kg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처음엔 저도 안 쓰는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자꾸 잊어먹었지만 습관을 들이니 이제는 자연스럽게 하게 됩니다. 또한, LED 조명으로 교체하면 기존 백열등보다 80% 이상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처음엔 조명을 구입해야 하니 초기비용이 들지만 결국엔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어서 이득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냉난방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름에는 에어컨을 26℃ 이상으로 설정하고 선풍기를 동시에 틀어 순환이 잘 되게 하고 겨울에는 난방을 20℃ 이하로 유지하면 에너지 절약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창문 단열과 에너지 절약형 커튼을 사용하면 난방 및 냉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친환경 실천을 가정에서 시작하는 것은 작은 변화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실천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주방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재사용 가능한 용기와 행주를 사용하는 것, 재사용 가능한 생활용품을 활용하는 것, 에너지 절약 습관을 형성하는 것 모두가 환경 보호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지속 가능한 소비 습관을 실천하는 것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강력한 변화로 이어질 것입니다.